가이드라인도시생물다양성에 관한 싱가포르지수(도시생물다양성지수) 안내서

2025-02-03


유엔생물다양성협약에서 발간한 기술지원 안내서(technical series) 중 하나인 도시생물다양성지수(City Biodiversity Index) 핸드북이 국립생물자원관의 번역을 통해 국문본으로 정식 발간되었습니다.

도시생물다양성지수는 2008년 독일 본에서 개최된 제9차 유엔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싱가포르의 제안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도시와 지방정부는 이를 활용하여 지역의 생물다양성 영향과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데이터 수집, 생태 활동 촉진 및 생물다양성 보전과 복원 노력을 촉진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클레이는 2006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개최된 이클레이 세계총회에서 생물다양성 지역실천사업(Local Action for Biodiversity, LAB)을 출범하며 전세계 도시 네트워크의 생물다양성 실천 강화를 도모하는 주요한 이니셔티브를 주도했으며, 이는 도시생물다양성지수 개발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지수 개발 및 핸드북 작성에는 이클레이 세계본부 및 이클레이 도시생물다양성센터의 잉그리드 쿳시(Ingrid Coetzee) 센터장이 참여하였습니다. 

이클레이는 LAB 사업 이후 GBF와 연계할 수 있는 도시 생물다양성 실천 노하우를 담은 정책 보고 플랫폼인 자연과도시(CitiesWithNature)를 2019년 출범하였습니다. 자연과도시 플랫폼에는 도시생물다양성지수 계산기를 포함해 지방정부 생물다양성 실무자가 지수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https://citieswithnature.org/cbi-introduction/). 


아래 링크를 통해 핸드북을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국문,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https://www.cbd-chm.go.kr/article/view.do?articleKey=1920&boardKey=52&menuKey=1192&currentPageNo=1 

(영문, 유엔생물다양성협약) https://www.cbd.int/doc/publications/cbd-ts-98-en.pdf 


문의: 기후와자연팀 천민우 담당관 (minwoo.chun@iclei.org / 031-994-3275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10390) 경기도 고양특례시 일산서구 킨텍스로 217-59 사무동 502호
TEL: 031-255-3257 / FAX : 031-256-3257
Email : iclei.korea@iclei.org

이클레이 뉴스레터 구독 신청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지난 뉴스레터 보기

© 2025 ICLEI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