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1분기의 끝에서 이클레이가 지역에 제안하다
기후위기 대응은 기세다.
손봉희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부소장
"진전은 있었지만 충분하지 않다." 2023년, 전 세계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평가한 이행점검(Global Stocktake)의 결론은 이 한마디로 요약됩니다. 세계 곳곳에서는 전쟁이 이어지고 있으며, 기후 행동을 외면하는 지도자들까지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탄소포집 기술은 발전하고, 재생에너지 투자는 확대되었으며, 지방정부들은 더욱 과감한 기후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변화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2020년, 전 세계 각국이 2030년을 목표로 감축 계획을 발표한 이후 어느덧 5년이 지났습니다. 이제 남은 시간은 단 5년. 지방정부는 이 시간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요? "산도 허물고 바다도 메울 기세로 나아가야 합니다." 손봉희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부소장의 강력한 메시지! 더 자세한 이야기를 지금 만나보세요. |
기대와 우려로 시작된 2025년
2025년은 전 세계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중요한 해다. 지구 온도 상승을 2도로 억제하고 가능하면 1.5도 이하로 유지하자는 파리협약이 체결된 지 올해로 10년째다. 파리협약에 참여한 국가들은 5년마다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설정하고 이행계획을 유엔에 제출해야 한다. 지난 2020년 2030년 감축목표 제출에 이어 올해엔 2035년 목표 제출을 앞두고 있다.
2030년까지 배출량 절반을 감축하고, 2050년 탄소중립을 이뤄야 파리협약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들 한다. 이행 정도 확인을 위해 5년마다 유엔은 정기적인 점검 절차를 거친다. 2023년 실시된 첫 이행점검의 결과는, 진전은 있었지만 충분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모든 국가가 감축목표를 달성한다고 가정하면, 4도로 예상되던 온도 상승이 2.1~2.8도로 낮춰진다. 하지만 이 수치도 기후 위기를 넘어서기에는 역부족이다. 매년 갱신되는 역사상 가장 뜨거운 해, 지난해 지구 연평균 온도 상승이 이미 1.5도에 도달했다는 소식은 그 방증이기도 하다.
세계 곳곳의 이상기후 소식과 함께, 각국이 내놓을 2035년 감축목표에 대한 기대도 높아졌다. ‘진전의 원칙’에 따라 국가들은 강화된 목표를 제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벌어진 국내외적인 상황은 기대보다는 우려를 자아내게 한다. 전쟁, 탄핵, 트럼프 재집권 등 갈 길 바쁜 우리의 발목을 잡는 소식들이 2025년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트럼프의 귀환 그리고 ‘Drill, Baby, Drill’
기후위기를 사기라 믿는 트럼프가 재집권하면서 전 세계의 시선이 미국에 쏠리고 있다. 트럼프는 취임하자마자 파리협약 탈퇴 및 환경정책 철회에 서명했다. 2017년 트럼프가 집권했을 때 125개의 환경 법안 및 규제가 후퇴했다고 한다. 트럼프 에너지 정책은 ‘Drill, Baby, Drill’로 대변된다. 석유, 천연가스 및 석탄 생산 장려를 통한 에너지 비용 절감을 내세운다. 이전 정부에서 추진되었던 기후정책도 상당 부분 축소되거나 철회될 것이다.
그러나, 비관적인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재생에너지 등 저탄소 산업에 대한 투자는 이어지리라는 예상이 우세하다.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 혜택 때문이다. 인플레이션감축법(IRA)하에서 태양광, 풍력 등에 대한 투자는 3조달러(약 4100조원)에 달했다. 새로운 일자리 창출은 330,000개를 넘어설 거라 한다. 더욱이, 경제적 혜택이 집중된 지역의 85%는 공화당 지지 지역이라는 점도 이러한 전망에 힘을 보탠다.
협력을 지향하는 주체들, 지방정부와 이해당사자들
미국 기후정책 후퇴를 막는 또 다른 힘은 지방정부 리더십이다. 2017년 처음 집권한 트럼프가 파리협약 탈퇴를 선언했을 때, 미국의 지역사회, 지방정부 및 산업계는 ‘America Is All In’을 발족했다. 4,000여 명의 시장, 주지사, 대학 총장, 기업 대표들이 참여해, 파리협약 달성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공동의 의지를 밝혔다. 당시 참가 기관들의 약속은 국가 차원의 노력 없이 2030년까지 배출량 30% 감축이 가능한 수준에 해당했다고 한다. 하향식 리더십의 영향력을 보여 주는 좋은 예이다.
또한, 야심찬 기후목표를 수립하는 지방정부들도 증가했다. 트럼프에 맞서 미국 24개 주는 Climate Alliance를 결성해 2050년 이전 넷제로 달성을 선언했다. 이들 주는 미국 인구의 54%, 미국 경제의 60% 차지한다. 도시들도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2017년 30여 명의 시장들로 시작한 Climate Mayors는 현재 350명의 시장이 참여하는 네트워크로 발전했다. 네트워크 참가 도시들은 대중교통, 녹색인프라 등 저탄소 정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America Is All In(블룸버그 재단, WWF등이 후원하는 미국 기후행동 촉진연합)/출처:WWF웹사이트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 앞서가는 국가들
재생에너지 등 저탄소 산업에 대한 투자 증가는 비단 미국만의 상황은 아니다. 이미 전 세계 경제는 탈탄소로 선회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외에도 AI와 위성, 중공업의 저탄소화, 저장장치, 수소에너지, 탄소포집 등이 기후 기술의 등장과 발전을 이끌고 있다. 경제구조의 변화와 혜택이 기후행동의 동력이 된다는 것이 다소 역설적이지만, 이미 현실이기도 하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4년 전 세계 청정에너지 기술과 인프라 투자가 2조 달러로 화석연료 투자의 두 배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태양광과 풍력이 주도한 재생에너지 투자액은 7,350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유럽, 미국, 일본, 중국 등 대다수 국가에서 기업의 기후공시도 의무화되는 추세다. 기업은 제품 생산뿐만 아니라 전체 공급망의 탄소 배출량(스코프 3)을 공시해야 한다. 산업의 탈탄소화는 이제 의무를 넘어 글로벌 무역에서 경쟁력을 가름하는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앞서가는 국가들이 있다. 지난해 2035년 감축목표를 발표한 영국과 브라질이 대표적이다. 영국은 2035까지 1990년 대비 81% 감축을 목표로 제출했다. 2023년 기준 53% 감축을 달성한 영국은 ‘청정에너지 일자리와 미래 경제를 위한 경쟁’에 대비한 목표임을 밝혔다. 올해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COP30) 개최국인 브라질도 2005년 대비 59%~67% 감축 목표와 이행 계획을 발표했다. 브라질은 노조, 주정부, 지방정부 간 협력 강화를 신규 목표 달성의 핵심 전략으로 명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2023 대한민국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출처:환경부
243개 한국 지방정부, 탄소중립을 향한 첫걸음
이제, 한국으로 돌아와 보자. 2020년 한국은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40% 감축 목표를 설정했다. 그리고 9월 유엔 제출을 목표로 2035년 감축 목표치에 대한 정부안을 마련 중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배출량은 2018년 725백만 톤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하는 추세다. 지난해 발표된 2023년 배출량은 624백만 톤으로, 2022년 대비 4.4%, 2018년 대비 14% 감소했다.
2030년 감축 목표 40% 달성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지만, 계산상 매년 4% 감축이 이뤄진다면 실현 가능하다. 문제는 연간 4% 감축이 말처럼 쉽지만은 않다는 것이다. 2035년 목표치에 대한 논란도 이런 현실을 반영한다. IPCC(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협의체)는 파리협약 달성을 위해 60% 감축을 권고하고 있다. 학계는 51~67% 감축을 제안하고 있고, 산업계는 목표 상향에 반대하는 분위기다.
전국의 243개 지방정부도 ‘탄소중립 기본계획’ 수립을 앞두고 있다. 대부분 2030년 40% 이상 감축,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설정할 것으로 보인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지역 여건을 반영한 촘촘한 세부 실천 계획을 잘 수립하고 이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미 계획 수립을 완료한 광역 지방정부 대표 정책들(환경부 선정)은 지역 주도의 탄소중립을 기대하게 한다. 물론, 성공적인 이행 여부가 전제조건이다.
- 건물 에너지 사용량 온실가스 총량제 도입(서울)
- 기후환경에너지데이터플랫폼 구축·운영(경기도)
- 폐자원 순환을 위한 자원순환 복합타운 조성(부산)
- 녹색기후복합단지를 조성하여 기후위기 대응 선도(인천)
- 6천만 그루의 나무 심기로 탄소 흡수와 열섬 완화의 녹색벨트 조성(대구)
-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한 해상풍력 융합 산업단지 조성(전라남도)
- 청정복합에너지 집적화단지 구축으로 2035 탄소중립 실현(제주도)
공동의 실천으로 기세를 높이자.
2025년은 우리 지방정부들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본격적인 여정을 시작한 해로 기록될 것이다. 계획은 수립했으니, 목표 달성을 위한 실천에 돌입할 때다. 2030년까지 단 5년이 남아있는 시점이라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신속하고 대담한 행동을 시작해야 한다. 그야말로 ‘산도 허물고 바다도 메울 기세’가 필요하다.
먼저, 다양한 이해당사자들과의 협력은 필수다. 중앙-지방정부 간 협력, 지방정부 간 협력, 시민, 기업 등 주요 이해당사자들과의 협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앞서서 기후정책을 추진해 온 다른 지방정부와의 협력도 중요하다. 사례와 경험은 정책 효과성을 높이는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다. 혼자 하기에는 어려워도 협력하면 쉽게 기세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협력을 도와주는 지원 플랫폼을 활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국내외 지방정부 간 교류와 협력을 지원하는 이클레이를 잘 활용하시라. 올 한 해 이클레이는 한국 지방정부가 기후행동 기세를 높여 2030 목표에 다가서도록 지원하려 한다. 에너지전환은 탄소중립의 핵심 요소이다. ‘100% 재생에너지 도시 네트워크’를 통해 실현 가능한 지역 재생에너지 확산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의 해법으로 자연의 기능이 주목받고 있다. 자연의 가치를 통합한 기후행동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기후와 에너지계획에 생태계 보전 관점을 통합하기 위한 활동도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 전 세계 지방정부들의 기후행동 기세를 보여 줄 행사를 준비 중이다. 오는 4월 14일부터 16일까지 고양 킨텍스에서 진행되는 ‘세계 지방정부 기후총회’다. 이번 총회는 기후위기 극복 및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는 지역 전환‘이라는 주제로 열린다. 지역 기후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과제 및 파리협약에 대한 지방정부의 기여를 논의하는 장이 될 것이다. 지방정부 기후 공동행동을 담은 총회 결과는 브라질 당사국총회에 전달될 예정이다. 기후행동을 실천해 온 국내 지방정부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서, 기후 위기 극복의 핵심 주체로서 우리 지방정부의 기세등등한 모습을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참고자료]
-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1e7j0vvq1yo
- https://www.wri.org/insights/trump-climate-action-setbacks-opportunities-us
-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3083129
- https://www.khan.co.kr/article/202407222007025
- https://www.cities-and-regions.org/the-new-brazil-ndc-a-story-of-champ-and-multilevel-success/
- 환경부 보도자료: 탄소중립, 광역 지자체가 직접 나선다
21세기 1분기의 끝에서 이클레이가 지역에 제안하다
기후위기 대응은 기세다.
손봉희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부소장
"진전은 있었지만 충분하지 않다." 2023년, 전 세계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평가한 이행점검(Global Stocktake)의 결론은 이 한마디로 요약됩니다. 세계 곳곳에서는 전쟁이 이어지고 있으며, 기후 행동을 외면하는 지도자들까지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탄소포집 기술은 발전하고, 재생에너지 투자는 확대되었으며, 지방정부들은 더욱 과감한 기후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변화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2020년, 전 세계 각국이 2030년을 목표로 감축 계획을 발표한 이후 어느덧 5년이 지났습니다. 이제 남은 시간은 단 5년. 지방정부는 이 시간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요? "산도 허물고 바다도 메울 기세로 나아가야 합니다." 손봉희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부소장의 강력한 메시지! 더 자세한 이야기를 지금 만나보세요.
기대와 우려로 시작된 2025년
2025년은 전 세계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중요한 해다. 지구 온도 상승을 2도로 억제하고 가능하면 1.5도 이하로 유지하자는 파리협약이 체결된 지 올해로 10년째다. 파리협약에 참여한 국가들은 5년마다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설정하고 이행계획을 유엔에 제출해야 한다. 지난 2020년 2030년 감축목표 제출에 이어 올해엔 2035년 목표 제출을 앞두고 있다.
2030년까지 배출량 절반을 감축하고, 2050년 탄소중립을 이뤄야 파리협약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들 한다. 이행 정도 확인을 위해 5년마다 유엔은 정기적인 점검 절차를 거친다. 2023년 실시된 첫 이행점검의 결과는, 진전은 있었지만 충분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모든 국가가 감축목표를 달성한다고 가정하면, 4도로 예상되던 온도 상승이 2.1~2.8도로 낮춰진다. 하지만 이 수치도 기후 위기를 넘어서기에는 역부족이다. 매년 갱신되는 역사상 가장 뜨거운 해, 지난해 지구 연평균 온도 상승이 이미 1.5도에 도달했다는 소식은 그 방증이기도 하다.
세계 곳곳의 이상기후 소식과 함께, 각국이 내놓을 2035년 감축목표에 대한 기대도 높아졌다. ‘진전의 원칙’에 따라 국가들은 강화된 목표를 제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벌어진 국내외적인 상황은 기대보다는 우려를 자아내게 한다. 전쟁, 탄핵, 트럼프 재집권 등 갈 길 바쁜 우리의 발목을 잡는 소식들이 2025년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트럼프의 귀환 그리고 ‘Drill, Baby, Drill’
기후위기를 사기라 믿는 트럼프가 재집권하면서 전 세계의 시선이 미국에 쏠리고 있다. 트럼프는 취임하자마자 파리협약 탈퇴 및 환경정책 철회에 서명했다. 2017년 트럼프가 집권했을 때 125개의 환경 법안 및 규제가 후퇴했다고 한다. 트럼프 에너지 정책은 ‘Drill, Baby, Drill’로 대변된다. 석유, 천연가스 및 석탄 생산 장려를 통한 에너지 비용 절감을 내세운다. 이전 정부에서 추진되었던 기후정책도 상당 부분 축소되거나 철회될 것이다.
그러나, 비관적인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재생에너지 등 저탄소 산업에 대한 투자는 이어지리라는 예상이 우세하다.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 혜택 때문이다. 인플레이션감축법(IRA)하에서 태양광, 풍력 등에 대한 투자는 3조달러(약 4100조원)에 달했다. 새로운 일자리 창출은 330,000개를 넘어설 거라 한다. 더욱이, 경제적 혜택이 집중된 지역의 85%는 공화당 지지 지역이라는 점도 이러한 전망에 힘을 보탠다.
협력을 지향하는 주체들, 지방정부와 이해당사자들
미국 기후정책 후퇴를 막는 또 다른 힘은 지방정부 리더십이다. 2017년 처음 집권한 트럼프가 파리협약 탈퇴를 선언했을 때, 미국의 지역사회, 지방정부 및 산업계는 ‘America Is All In’을 발족했다. 4,000여 명의 시장, 주지사, 대학 총장, 기업 대표들이 참여해, 파리협약 달성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공동의 의지를 밝혔다. 당시 참가 기관들의 약속은 국가 차원의 노력 없이 2030년까지 배출량 30% 감축이 가능한 수준에 해당했다고 한다. 하향식 리더십의 영향력을 보여 주는 좋은 예이다.
또한, 야심찬 기후목표를 수립하는 지방정부들도 증가했다. 트럼프에 맞서 미국 24개 주는 Climate Alliance를 결성해 2050년 이전 넷제로 달성을 선언했다. 이들 주는 미국 인구의 54%, 미국 경제의 60% 차지한다. 도시들도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2017년 30여 명의 시장들로 시작한 Climate Mayors는 현재 350명의 시장이 참여하는 네트워크로 발전했다. 네트워크 참가 도시들은 대중교통, 녹색인프라 등 저탄소 정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 앞서가는 국가들
재생에너지 등 저탄소 산업에 대한 투자 증가는 비단 미국만의 상황은 아니다. 이미 전 세계 경제는 탈탄소로 선회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외에도 AI와 위성, 중공업의 저탄소화, 저장장치, 수소에너지, 탄소포집 등이 기후 기술의 등장과 발전을 이끌고 있다. 경제구조의 변화와 혜택이 기후행동의 동력이 된다는 것이 다소 역설적이지만, 이미 현실이기도 하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4년 전 세계 청정에너지 기술과 인프라 투자가 2조 달러로 화석연료 투자의 두 배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태양광과 풍력이 주도한 재생에너지 투자액은 7,350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유럽, 미국, 일본, 중국 등 대다수 국가에서 기업의 기후공시도 의무화되는 추세다. 기업은 제품 생산뿐만 아니라 전체 공급망의 탄소 배출량(스코프 3)을 공시해야 한다. 산업의 탈탄소화는 이제 의무를 넘어 글로벌 무역에서 경쟁력을 가름하는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앞서가는 국가들이 있다. 지난해 2035년 감축목표를 발표한 영국과 브라질이 대표적이다. 영국은 2035까지 1990년 대비 81% 감축을 목표로 제출했다. 2023년 기준 53% 감축을 달성한 영국은 ‘청정에너지 일자리와 미래 경제를 위한 경쟁’에 대비한 목표임을 밝혔다. 올해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COP30) 개최국인 브라질도 2005년 대비 59%~67% 감축 목표와 이행 계획을 발표했다. 브라질은 노조, 주정부, 지방정부 간 협력 강화를 신규 목표 달성의 핵심 전략으로 명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243개 한국 지방정부, 탄소중립을 향한 첫걸음
이제, 한국으로 돌아와 보자. 2020년 한국은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40% 감축 목표를 설정했다. 그리고 9월 유엔 제출을 목표로 2035년 감축 목표치에 대한 정부안을 마련 중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배출량은 2018년 725백만 톤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하는 추세다. 지난해 발표된 2023년 배출량은 624백만 톤으로, 2022년 대비 4.4%, 2018년 대비 14% 감소했다.
2030년 감축 목표 40% 달성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지만, 계산상 매년 4% 감축이 이뤄진다면 실현 가능하다. 문제는 연간 4% 감축이 말처럼 쉽지만은 않다는 것이다. 2035년 목표치에 대한 논란도 이런 현실을 반영한다. IPCC(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협의체)는 파리협약 달성을 위해 60% 감축을 권고하고 있다. 학계는 51~67% 감축을 제안하고 있고, 산업계는 목표 상향에 반대하는 분위기다.
전국의 243개 지방정부도 ‘탄소중립 기본계획’ 수립을 앞두고 있다. 대부분 2030년 40% 이상 감축,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설정할 것으로 보인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지역 여건을 반영한 촘촘한 세부 실천 계획을 잘 수립하고 이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미 계획 수립을 완료한 광역 지방정부 대표 정책들(환경부 선정)은 지역 주도의 탄소중립을 기대하게 한다. 물론, 성공적인 이행 여부가 전제조건이다.
공동의 실천으로 기세를 높이자.
2025년은 우리 지방정부들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본격적인 여정을 시작한 해로 기록될 것이다. 계획은 수립했으니, 목표 달성을 위한 실천에 돌입할 때다. 2030년까지 단 5년이 남아있는 시점이라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신속하고 대담한 행동을 시작해야 한다. 그야말로 ‘산도 허물고 바다도 메울 기세’가 필요하다.
먼저, 다양한 이해당사자들과의 협력은 필수다. 중앙-지방정부 간 협력, 지방정부 간 협력, 시민, 기업 등 주요 이해당사자들과의 협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앞서서 기후정책을 추진해 온 다른 지방정부와의 협력도 중요하다. 사례와 경험은 정책 효과성을 높이는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다. 혼자 하기에는 어려워도 협력하면 쉽게 기세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협력을 도와주는 지원 플랫폼을 활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국내외 지방정부 간 교류와 협력을 지원하는 이클레이를 잘 활용하시라. 올 한 해 이클레이는 한국 지방정부가 기후행동 기세를 높여 2030 목표에 다가서도록 지원하려 한다. 에너지전환은 탄소중립의 핵심 요소이다. ‘100% 재생에너지 도시 네트워크’를 통해 실현 가능한 지역 재생에너지 확산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의 해법으로 자연의 기능이 주목받고 있다. 자연의 가치를 통합한 기후행동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기후와 에너지계획에 생태계 보전 관점을 통합하기 위한 활동도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 전 세계 지방정부들의 기후행동 기세를 보여 줄 행사를 준비 중이다. 오는 4월 14일부터 16일까지 고양 킨텍스에서 진행되는 ‘세계 지방정부 기후총회’다. 이번 총회는 기후위기 극복 및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는 지역 전환‘이라는 주제로 열린다. 지역 기후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과제 및 파리협약에 대한 지방정부의 기여를 논의하는 장이 될 것이다. 지방정부 기후 공동행동을 담은 총회 결과는 브라질 당사국총회에 전달될 예정이다. 기후행동을 실천해 온 국내 지방정부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서, 기후 위기 극복의 핵심 주체로서 우리 지방정부의 기세등등한 모습을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참고자료]